덕당국선도

덕당국선도 I,이것만은 알고 수련...

艸貞 2010. 4. 7. 17:25

국선도 권행[勸行]-생활선도의 이념

 

                    다함께 몸과 마음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가꿉시다.

                    참 나를 찾아 [眞我] 진정한 행복을 누립시다.

 

국선도를 상징하는 문양[紋樣]의 의미

 

         

 

 

녹색으로 된 계수나무 잎은 자유와 평화, 번영과 발전, 사랑과 행복을 상징하며,

청색으로 된 둥근원은 우주의 본체, 우주의 근원 자리를 말하며,

청색으로 된 둥근 원 안에 붉은색의 원과 십자표시는 단[丹]이라는 글자로 기[氣]를 상징하며,

붉은색의 원을 사각형으로 보면 전[田]의 모양이 되어 기가 모이는 자리로서 단전[丹田]을 의미한다.

 

이것을 정리해 풀이를 하면, 이 문양은

행공자가 단전행공으로 심신을 닦아 소우주가 대우주와 교관합일[交關合一]하는

우아일체[宇我一體]의 경지로서 연년익수[延年益壽]하고 무병장생[無病長生]하여

자유와 평화, 번영과 발전, 사랑과 행복을 누리게 된다는 뜻이다.

 

 

1. 국선도의 意義와 本質

           -시원: 상고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족고유)의 (道)를 말한다.          

           -원리: (우주)의 자연법칙에 따라 생명력을 강화시키는 (동양천리적)인 자연의 법리다.

           -본질: (종교)가 아니라 (심신수련법)이다.

           -수련방법: (육조법)의 수련으로 저항력을 강화시키고

                          질병을 퇴치하고, 3대 수련법이 있다.

           -추구하는 목적: 강한 의지와 고도의 정신수련으로 잠재한 능력을  개발하고,

                                 안정된 마음으로 행복한 삶을 누리게하는 전인적[全人的]인 (인간상)을 창조한다.

 

 

2. 생활선도 이념이란?

                 1). 생활선도의 의의

                        천지자연의 이치에 따라 태어나고,

                        모두가 더불어 가는 공동체 안에서 서로 도우면서 살아가고자 하는 심신[心身]수련법이다.

                  2). 수련의 목표

                            ①건강한 삶

                            ②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갖는 긍정적인 삶

                            ③육체적 정신적 능력 갖춘 삶

                            ④스스로 자기 발전하는 삶                           

                            ⑤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삶

                            ⑥우리 모두의 행복을 위한 삶

 

3. 국선도의 특징

           -이념적인 특성

                 ①국선도는 민족고유의 도이며, 원초적인 원형사상과 민족의 얼이 담겨있는

                    전통문화유산으로서 이 수련을 통하여 현세적인 삶을 충실하게 해주는 養生의 도이다.

                 ②국선도는 고도의 (정신수련)을 통하여 윤리와 (도덕관)의 확립을 이룩하여 인간성을 회복한다.

                 ③국선도는 건전한 (국민의식) 함양을 도모하여

                    참된 삶의 (가치관)과 전인적인 (인간상)을 구현한다.

                 ④국선도 수련은 생활선도를 이념으로 삼으며,

                    일상생활에서 서로 돕고 서로를 북돋아 주는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켜

                    항상 덕을 쌓고 덕을 베푸는 고도의 수양법이다.

         -수련적인 특성

                ①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수련할 수 있으며 병약자도 수련할 수 있다.

                     다만, 병약자는 별도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

                ②어느 단계의 수련을 지속하면 별도의 수련장소가 필요치 않으며

                   가정이나 직장 어디에서나 수련이 가능하다.

                ③지병자는 수련정도에 따라 지병이 퇴치되며 예방건강법으로 한평생 수련할 수 있다.

                ④고도의 수련법으로 가정에서 가족과 같이 생활화하여

                   건전한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⑤수련을 통하여 항상 건강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으며

                   머리가 맑고 마음이 평안하여 건강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다.

 

4. 국선도 단전행공 기초수련과정

                 1)수련법의 수칙  

 

                                                                                      -訓

                   正           正           正           正          正

                   行           道           覺           視          心   

                      정심 

                          선한 마음, 정직한 마음, 밝은 마음, 고요한 마음, 맑은 마음, 포용력 있는 마음이다.

                     정시

                           정심의 심안[心眼]으로 본다는 것이다.

                     정각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어 바른 마음으로 깨치는 것을 말한다.

                     정도

                           일상에서 올바른 윤리관과 도덕관을 가지고 준법정신과 올바른 사고 인식을

                           가지고 성실히 살아가는 길 또는 육체적 정신적 고행을 통해 선인이 되기 위한

                           깨달음의 길이다.

                      정행

                           정심, 정시, 정각, 정도를 실천에 옮기는 것을 말한다.               

                                                                                                                                                                   

                                                -仙道文 

                            孝    仙

                            踐    道

                            愛    活

                            橋    法

                            一    健

                            和    體

                            蒼    康

                            生    心

                   

                          선도활법

                            선도는 민족 고유의 심신수련법                                      

                                      양생의 도를 말하고

                            활법은 생명력을 강화시키는 법                                      

                                      생명체에 활력을 넣는 법을 말하며

                                      그 반대는 살법[殺法]이다.

        

                           건체강심

                             건체는 몸이 튼튼해진다.

                                       외적인 형신[形身]뿐만 아니라
                                       내적인 신체조직 전체가 건강한 것을 말하며
                             강심은 마음이 편안해진다.
                                       아무런 근심 걱정 없이 화형한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다는 뜻이다.

                          효천애교 
                             효천은 효행을 실천하다 즉 충효사상을 실천에
                                       옮기자는 뜻이고 애교는 사랑을 베풀자는 뜻이다.
                             애교는 넓은 의미로 박애사상 자비사상을 말하며 
                                       사랑이 근본이라는 뜻이다

                          일화창생
                              일화는 온누리가  진리로써 화합되고
                                        조화된다는 뜻이며
                              창생[蒼生]은 백성 무리 사람을 뜻한다.

                    

5. 수련의 실천요강(10가지)

                  1)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몸의 저항력과 항병능력을 강화시켜 질병을 예방하고 지병을 다스려

                                                   건강하게 살아가자는 것이요

                   2)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꿈과 희망을 갖고 정직하고 성실하게 노력하면서

                                                    사람답게 살아가자는 것이요

                   3)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무한한 인간의 능력을 최대로 개발하여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삶의 질[質]을 높이자는 것이요

                   4)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어떤 어려운 일도 '하면 된다'는 신념과 희망을 갖고

                                                  자신 있게 자기발전을 하자는 것이요

                   5)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마음의 안정과 감정의 순화로 아름답고 착한 마음으로

                                                   인간성을 회복하자는 것이요

                   6)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내면세계의 개발과 정신 수준을 고양시켜

                                                   정신문화를 향상시키자는 것이요                  

                   7)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강건한 육체와 투철한 정신력으로 인간의 가치관[價値觀]을

                                                   확립하고 민족정기[民族正氣]를 바로 세우자는 것이요

                   8)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서로 돕고 서로 북돋워주는 공동체의식[共同體意識]을 고취시켜

                                                   덕[德]을 쌓고 덕을 베푸는 복[福]된 사회를 구현하자는 것이요

                   9)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고 소우주와 대우주가 하나가 되는

                                                   우아일체 [宇我一體]의 경지에 이르자는 것이요

                  10)국선도 수련을 통해서 참나[眞我]를 찾아 진정한 행복을 누리자는 것이다.

 

 

6. 행공에 임하는 자세

                   -마음에 여유를 가지고 느긋한 마음으로 행공[行功]에 임하라.

                   -마음의 안정이 가장 중요하며 마음이 안정되지 못하면 집중이 흩어지고

                     집중이 되지 않은 행공은 무용[無用]함을 명심하라.

                   -밝고 맑은 마음가짐으로서 행공에 임하되 모든 수련을 긍정적으로 받아 드리는

                     마음의 자세로서 행공에 임하라.

                   -절대 무리하지 말고 자기 몸에 맞도록 수련하라.                    

                    욕심은 절대 금물이다.

                   -세신[洗身] 세심[洗心]의 자세로써 행공을 하되

                     동작 하나 하나에 성의를 다하여 행공에 임하라.

                   -행공은 공복 시가 좋으며 식사를 했을 경우 소화가 충분히 된[1~2시간]후에 행공에 임하라.

                   -행공 시에는 양말, 시계, 안경 등을 제거하고 행공에 임하라.

                   -행공은 정확한 자세, 올바른 호흡, 강한 정신집중으로 행공을 하여라.

                   -수련 도중 늦게 행공을 하게 될 때 간단히 조신[調身]을 하고 충분히 긴장을 풀고 난 후에

                     행공을 하라.

                   -대. 소변은 행공 시작 전에 충분히 처리하고 행공에 임하라.

                     행공 중에 화장실을 이용하게 되면 습관이 될 수도 있고

                     행공의 리듬이 깨져 행공에 지장이 생기며 타인에게도 방해가 된다.

                   -음주했을 시에는 행공을 절대 금한다.

                     과음했거나, 숙취상태에서 행공을 하면 몸을 크게 상하게 되므로 단전호흡은 절대 금한다.

                   -의식이 가는 곳에 기[氣]가 가는 원리이니 수련 시에는 일 다른 생각을 하지 말고

                    오로지 정신집중에만 전념하라.                  

                  -신체에 이상이 있는 자는 반드시 지병의 정도를 사범에게 알리고

                    몸에 맞는 행공의 지도를 받도록 하라.

                  -몸살감기로 몸이 무겁고 몸 전체의 컨디션이 좋지 못할 때 무리하게 행공을 하지 말고

                    사범의 지도에 따라 가볍게 행공을 하면 오히려 찌뿌듯한 몸이 가벼워지고

                    단전호흡으로 몸에 활력이 생겨 몸살감기에 도움을 준다.

                  -행공과정 중 신체적인 변화가 오게 되면 이를 사범에게 알리고

                    이에 대한 지도를 받도록 하라.

                  -수련에 대한 의문점이 있을 시에는 항상 사범에게 문의하여

                    정확하게 알고 나서 수련에 임하라.

 

7. 행공의 단계

 

단계별

단법별

행공명

수련기간

도복띠

제1단계

중기단법

[中氣丹法]

중기단법 전편

50일

백색띠

중기단법 후편

50일

백색띠 황선

제2단계

건곤단법

[乾坤丹法]

건곤단법 전편

50일

황색띠

건곤단법 후편

50일

황색띠 적선

제3단계

원기단법

[元氣丹法]

원기단법 전편

200일

적색띠

원기단법 중편

200일

적색띠 청선

원기단법 후편

200일

청색띠

제4단계

진기단법

[眞氣丹法]

진기대기단법

[眞氣待期丹法]

180일

회색띠

세세축기단법

[細細蓄氣丹法]

500일

흑색띠

운기자개단법

[運氣自開丹法]

500일

흑색띠 황선

일관흡기단법

[一觀吸氣丹法]

500일

흑색띠 적선

염사분심단법

[念寫分心丹法]

500일

흑색띠 청선

제5단계

삼합단법

[三合丹法]

기공호흡단법

[氣孔呼吸丹法]

기간 없음

흑색띠 백일선

기공자개단법

[氣孔自開丹法]

기간 없음

흑색띠 백이선

제6단계

조리단법

[造理丹法]

합기자개단법

[合氣自開丹法]

기간 없음

흑색띠 백삼선

합기분신단법

[合氣分身丹法]

기간 없음

흑색띠 백삼선

 

                           * 제 7.8.9단계인 무진[無盡].삼청[三淸].진공단법[眞空丹法]은

                             선인[仙人]의 도[道]임.

                           *단축수련을 하는 경우 제 1단계에서 3단계까지 각 행공별 1,2를

                            수련 후 승단. 승급한다.

                           예) 중기단법 전편 1번, 2번을 각각 50일씩 수련한 후에

                                중기단법 후편으로 승급. 

8. 수련법의 구성

 

순별

행공의 종별

소요시간

수련의 내용

1

조신법 전편

[調身法 前便]

20분

몸의 굴신[屈伸], 마찰[摩擦],

타자[打刺],도인법[導引法],

매일 반복하는 고정수련법

2

단전행공

[丹田行功]

40분

[단축:25분]

단계별 행공법

1단계~9단계의 수련

3

조신법 후편

[調身法 後便]

10분

몸의 굴신, 마찰, 타자, 도인법

4

강정법

[强精法]

3분

두좌법[頭坐法].

관지[貫指] 단련법

내장기능 강화법

5

오기법

[五氣法]

4분

오장육부의 사기[邪氣] 토출법

오장육부 기능 강화법

6

정화법

[靜和法]

3분

몸 안의 긴장[緊張], 피로,

스트레스를 해소

시키는 자율수련, 암시훈련

 

*정규수련은 80분, 70분 과정으로 구분하고

 단축수련은 60분, 45분, 30분, 20분 과정 등으로 구분한다.  

 

9. 이단지식호흡

 

          -정기신 3단전 2단지식호흡법

                  국선도 단전행공의 원리를 한 마디로 표현한다면

                  정기신3단전2단운기행공법 이라 할 수 있다.                  

                  이 13자에 국선도를 수련하는 원리와 방법이 다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단 지식호흡법:건곤단법 수련 과정부터 흡지호지 호흡을 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호흡을 들이마시고 바로 내뱉지 않고  멈추는 호흡을 이단계의 호흡이라고 하여

           이단[二段]호흡 또는 지식[止息]호흡 이라고한다.

           이 두 가지 단어를 합성하여 이단지식호흡이라 한다.

 

             *숨을 마시고 [吸] 멈추는[止] 두 동작을 말한다.

             *숨을 멈춘 상태에서 하단전에 축기된 氣를 경맥[經脈, 氣道]을 통해서 강한 관념으로

               유통시키는 운기법[運氣法]이다.

             *운기법에는 소주천법[小周天法]과 대주천법[大周天法]이 있다.

                   소주천법:임맥[任脈] 독맥[督脈]이 있고

                   대주천법:12경, 14경, 365경 운기법이 있다.

 

 

10. 인체 생리학

           -사람의 인체를 소우주라 한다.

          -음양오행은 우주의 순환질서와 자연변화의 원리에 대한 개념이지만,

           한의학에서 의학적인 실천개념이 결합되어

           陰과 陽이라는 두 현상으로 다섯가지의 연쇄적 상호관계를

           서로 지원하는 상생관계와 서로 저지하는 상극관계를 나타내는데

           오행의 속성을 인체의 내장기관과 관련시켜 5장 6부에 기를 충만하게 하여

           전신기혈 유통을 원활하게 하고 건강함을 유지하고자 함에 있다.

 

                                

                                                                        膽

                                                                      肝

                                              木

                                            三焦

                                              心包

                      膀胱 腎                                                            心  小 

                                  金            

                                                肺                             脾

                                              大                                   胃

 

 

       음양오행에 입각한 각 장부다.

       표에서 음양오행은 木火土金水이고,

       안쪽으로 위치하고 있는 간, 심장, 비장, 폐, 신장은 음을 나타내며

       바깥쪽으로 위치하고 있는 담, 소장, 위, 대장, 방광은 양을 나타낸다.

       심장을 싸고 있는 심포를 장에 포함시켜 요즘은 6장 6부라 한다.

      

       -상생관계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상극관계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      

      -기의 주유순서

         기는 음양 양음 음양 양음의 순서로 돕니다.

         표를 가만히 보고 있으면 한눈에 들어옵니다.

      -오행의 방향

        목-동, 화-남, 토-가운데중앙:한국-세계중심, 금-서, 수-북

      -오행의 5미

        목-酸(신맛), 화-苦(쓴맛), 토-甘(단맛), 금-辛(매운맛), 수-鹽(짠맛)

      -오행의 5색

        목-靑, 화-赤, 토-黃, 금-白, 수-黑

 

11. 단전행공이 생리에 미치는 영향 [12가지]

 

              1)산소 섭취를 충분히 한다.

              2)폐호흡이 강화된다.

              3)세포호흡[기공호흡]이 강화된다.

              4)피부호흡[기공호흡]이 강화된다.

              5)피가 맑아지고 혈액순환이 좋아진다.

              6)기화작용을 촉진한다.[신진대사]

              7)뇌 기능이 활발해 진다.

              8)생리기능의 리듬이 강화된다.

              9)내장 기능을 촉진한다.            

             10)조혈기능이 강화된다.

             11)血海가 충실해진다.[뇌: 髓海. 가슴:血海. 배: 水穀之海. 단전:氣海]

             12)인체의 5독[毒]을 제거한다.[氣독. 血독. 心독. 食독, 水독]

 

12. 정기신의 의미

 

      -인체의 삼보[三寶]라고도 한다.

        인간의 구성요소

            1)정[精]

                  육체의 구성 물질. 혈. 진액. 정액등 우리 몸을 형성하고 있는 기본물질이다.

            2)氣

                  우주만물을 구성하고 있는 원초적인 물질                 

                  인간이 살아가는 생명력이다.

                  기가 모이면 생명체가 형성되고 기가 흩어지면 생명이 다한다.

            3)神

                   정신을 주제로 하는 인체활동의 총칭이다.

                   의식작용. 지각작용. 7정[喜 努 憂 思 悲 恐 驚] 등이다.

                                                     심 간 폐 비 폐 신 심 - [너무 심하면 각 장기가 나빠진다.]

                                                

13 삼단전[三丹田]이란

 

    3단전: 사람의 몸을 크게 나누어 단전이 셋이 있는데,

               맨 위쪽 머리에 있는 단전을 상단전이라 하고,

                  가슴 부위에 있는 단전을 중단전,

          배꼽 밑 아랫배에 있는 단전을 하단전이라고 한다.

      삼단전의 원리와 기능은 각각 다르나 수련을 할 때 불가분리의 일체로서 통일된 작용을 하게 된다.

 

     상단전: 머리작용이라 한다. 정신작용과 뇌의 기능    

     중단전: 마음의 작용

     하단전;氣를 양생 하는 곳

   

               1)상단전: 두 눈썹사이 인당[印堂]穴

                             정수리 백회[百會]아래의 구신궁 [九神宮]작용을 상단전 작용이라 한다.

                             상단전을 수[髓.뇌수]의 바다. 수해 [髓海]라 한다.

              2)중단전: 가슴과 심장이 있는 곳으로 양젖꼭지 가운데 단중, 전중혈이다.

                           血海라고 한다.

                           [심장은 血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수곡지해 [水穀之海]라고도 한다.

                           음식물을 소화하고 영양분을 전신에 보내기 때문

              3)하단전: 배꼽[神闕]과 곡골의 중앙 위치를 말하기도 하고

                            배꼽중앙에서 밑으로 3촌[치] 관원 [關元]穴이다.

                            氣가 모이는 곳으로 氣海라 한다.

 

 14. 운기행공법 [運氣行功法]이란

 

                           止息상태에서 운행시킨다.

                   -운기행공법이란 하단전에 축기된 氣를 경맥을 통해 인위적으로 유통시키는 행공법을 말한다.

                   -행공법에는 소주천법과 대주천법이 있다.

                                    소주천법은 임독맥[任脈.督脈] 유통법이고

                                    대주천법:12경, 14경, 365경 유통법이다.

 

                   -운기의 요령은 집중점[건곤단법 전편에서는 곡골혈, 후편은 회음혈]에서 회음혈[會陰穴]→

                    장강혈[長强穴]→양관혈→명문혈→신도혈→아문혈→뇌호혈→백회혈→상성혈→수구혈→

                    임맥의 승장혈→선기혈→단중혈→신궐혈→기해혈을 거쳐 다시 집중점으로 기를 한바퀴

                    회전시키는 것이며 이를 소주천 운기행공이라고 한다.

 

                    〈선도활법〉에 숨을 들이마시고 〈건체강심〉에 호흡을 지식할 때 집중점에서 뒤쪽

                    독맥을 따라 항문을 약간 수축하면서 머리 위로 올렸다가 앞쪽으로 내려 집중점에서 끝낸다.

                    〈효천애교〉에서 숨을 내쉬고 〈일화창생〉에서 숨을 내쉰 채 멈춘다.                    

                     숨을 내쉰 채 멈출 때는 임독맥 운기를 하지 않는다.

 

                           기회전법

                              -임맥: 회음~승장까지

                               독맥: 회음~은교까지다

 

                    건곤단법 전편에서는 곡골혈이 집중점이었으나 후편에서는 회음혈에 의식을 집중한다.

                   〈선도활법〉에 숨을 들이쉰다. 이때 혀를 입천장에 가볍게 대며 항문을 약간 닫아준다.

                   〈건체강심〉에서는 지식호흡으로 기를 2회 회전시킨다. 항문을 수축하며 회음혈→장강혈→

                    명문혈의 후단전으로 반원을 그리고 항문을 약간 풀어주며 신궐혈→기해혈→곡골혈→

                    회음혈의 순으로 후단전에서 전단전으로 기를 회전시킨다.

                    다시 반복해서 1회 회전시킨다.

 

                    기회전은 〈건체〉에서 1회, 〈강심〉에서 1회로 5초 동안 총 2회를 회전시킨다.

                   〈효천애교〉에 숨을 내쉬는데 이때 의식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회음혈에 집중을 하며

                     혀는 입천장에 침샘이 있는 하악으로 내리며, 항문은 풀어준다.

                   〈일화창생〉에 숨을 내쉰 채 의식은 회음혈에 두고 혀는 아래 침샘 위에,                     

                    항문은 완전히 푼 채 그대로 멈춘다.

                    다시 선도활법에 혀를 입천장에 대고 항문은 약간 닫아주며

                    건체강심에 항문을 수축하면서 후단전에서 전단전으로 기를 2회 회전시킨다.

 

                         -임독맥유통:1회에 5초-건곤단법 후편부터

                            12경        :1회에 10초-원기2번

                            14경        :1회에 15초-원기6번

                             365경      :1회에 20초-원기11번

 

15. 경혈의 도인법

 

    백회[百會], 상성[上星], 객주인[客主人], 정명[睛明], 수구[水溝], 승장[承漿], 청궁[廳宮], 청회[廳會]

    아문[啞門], 완골[完骨], 풍지[風池], 천주[天柱], 뇌호[腦戶], 견정[肩井], 곡지[曲池], 수삼리[手三里],

    합곡[合谷], 용천[涌泉], 삼음교[三陰交]

 

   17. 사구법

            

            1. 無聲이라야 한다.[소리가 나지 않아야 한다.]

            2.不粗해서는 안된다.[호흡이 조잡하고 거칠면 안된다.]

            3.不涉해서는 안된다.[흐르는 물같이 이어지고 중간중간 끊어지면 안된다.]

            4.圓滑해야만 된다.[미끄럽고 원활해야 한다.]

     

18. 팔자결

 

                  -호흡을 강한 정신집중의 내관법으로 운기행공하는 법이다.

                                                                        [호흡법이다]

                     세[細]:가늘게

                     균[均]:고르게

                     장[長]:길게                    

                     심[深]:깊게

                     면[綿]:끊어지지 않게

                     유[悠]:유유히 오래~

                     정[靜]:조용하게

                     완[緩]:긴장하지 않고 이완된 상태에서

 

19. 지도자의 호칭과 자격

 

                          -수사[修師]:사범과정을 밟기 위해 1日 2-3회 수련하는 자

                                           지도자전문양성과정에 들어 갈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자

                          -사범[師範]: 5년 이상 수련한자

                                         지도자전문양성과정을 이수한자로 직접 수련을 지도하는 자                        

                          -연사[煉師]: 10년 이상 수련하고 5년 이상 지도경력을 갖춘 자

                                            진기단법인 세세축기단법

                                                            운기자개단법

                                                            일관흡기단법

                                                            염사분심단법을 수련하고 삼합단법을 수련하는 자

                          -법사[法師]:수련경력 15년

                                           지도경력 10년 이상인자

                                           연사 중에서 선사회의에서 선발된 자

                          -선사[仙師]:국선도 최고 지도자

                                           수련경력 20년 이상자

                                           덕망과 도심을  갖춘 자

 

20.국선도 수련장의 명칭

 

                      -단전교실: 문화원. 학교. 동사무소. 연수원 등에서                                     

                                     관리는 단체에서 지도는 파견된 사범

                                     수련시간:60분

                      -직장분원: 관공서 회사. 기관. 단체에서 건강증진을 위해서

                                     하는 곳 하루에 1~2회 수련하며 分院이라 한다.

                      -수련원: 관공서 회사 단체에서 1日 2-3회 수련하며 회원수가

                                 100명 이상인 곳

                     -지원(支院):운영 관리는 독립재산으로 지원장이 책임지고

                                      지도체제 제반업무는 협회규정에 따른다.

                     -직활원: 총 본원에서 직접 지도 관리하는 곳

                                 지원장. 사범은 모두 본부소속

                     -협회: 수련장의 개설

                              수련체계 지도

                              사범보수 교육

                              승단심사 등

                              협회의 모든 업무를 총 관리한다. 

 

22. 기초단전호흡의 요령

 

                       1)단전호흡은 반드시 코를 사용해야 한다.

                       2)단전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 행공하라.

                       3)눈을 살며시 감고 내공하라.

                       4)정신집중은 마음작용을 좌우한다.

                       5)명치. 가슴. 어깨에 힘이 들어가면 안 된다.

                       6)하단전의 호흡량은 사람의 체질과 체형에 따라 다르다.

 

23. 원기단법 수련의 중요성

 

                        1)단전행공의 핵심적인 수련과정이다.

                          (정신과 육체의 싸움이다.)

                       2)정신과 육체를 동시에 강화시키는 수련이다.

                       3)몸과 마음을 바로 세우는 수련이다.

                       4)심전선화[心田善化]다:

                           마음의 밭이 착하고 아름답게 변해간다.

                       5)육소기다 정묘체

                           -몸에는 군살이 없어지고 근육에는 탄력이 생기고

                             관절 인대 골격은 부드러워지고 손과 발에는 힘이 생겨

                             그야말로 육은 적어지고 기가 많은 체질로 바뀐다.  

                           -원기단법은 저항적 호흡이요 나선적[나사못]호흡이다.

                             편한 자세로 하는 것이 아니라 어려운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한다.

                             필요없는 살은 빠지고 氣가 많아지는 수련법이다.

 

 24. 원기단법의 필수요건

 

                          1) 삼기체의 숙련에 따라 수련의 승패가 결정된다.

                             [上기자. 中기자. 下기자]

                          2)기회전법의 숙련에 따라 수련의 성패가 결정된다.

                             내관을 강화 강정을 극대화시킴

                          3)기회전법. 운기행공은 지식에서 이루어진다.

                          4)吸止에서 공력이 생기고 순간적인 呼에서 힘이 발산한다.

                              吸:긴장되지만 힘이 모아진다.

                              呼: 呼하면서 힘을 가하면 氣脈이 통하면서 氣의 功力이 생긴다.

                          5)단전행공은 행공자의 성격과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정신 상태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다.

                          6)호흡을 길게 하거나 무리한 지식호흡은 금물이다.

                             호흡을 길게 해서 건강해 지는 것은 아니다.

                             너무 길면: 心.肺에 무리 온다.

                             참고 억지로 힘주면: 복강[복부]이 약한 사람은 탈장 온다.

                          7)호흡과 신경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자율신경-교감신경: 흥분작용[긴장] -혈압 올리고

                             부교감신경[미주신경]:억제작용[이완] - 혈압 내린다.

 

25. 원기단법 수련의 주의 점

 

                            1)욕심은 금물이다.

                            2)동작보다 호흡을 중시하라.

                            3)동작은 바꿀 때 호흡이 흐트러지지 않게 하라.                           

                            4)강한집념으로 행공하고 방심하지 말라

                            5)운기행공이 중요하다.[수승화강 작용을 최대한 강화시켜라]

                            6)의식이 가는 곳에 기가 가니 정신집중을 최대화하라.

                            7)몸의 상태가 나쁠 때는 약하게 하라.

                            8)몸의 상태가 좋을 때 자만하지 마라

                            9)음식을 조심하라[소화기 장애]                          

                           10)건강이 좋아졌다고 망설[忘泄]하지 마라.

                           11)예지의 능력이 생겼다고 자만하지 마라.

                           12)원기단법은 도에 입문하는 초공[初功]임을 명심하라

                           13)축기와 운기행공이 중요하니 더욱 더 행공하라.

 

27. 육조법[六調法]

 

                        - 육조법은 건강과 행복을 위해 살아가는 필수조건이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1)조신법[調身法]

                           -육체를 튼튼하게 하는 방법

                           -조신법에는 전조신법과 후조신법이 있다.

                           -조신법의 원리

                                 ①심장에서 먼 곳에서 시작하여 심장가까이로 한다.                                

                                 ②평소에 사용하지 않던 부위를 움직여 신체의 균형을 유지한다.  

                                 ③5장6부에 직접 영향을 주지 못하나 손. 발. 다른 부위를

                                    통해서 조절한다.

                                        조신법- 굴신법

                                                    타자

                                                    마찰

                                                    도인법이 있다.

                           -조신법의 특징

                                   ①남녀노소 누구나 할 수 있다.

                                   ②굴신. 경혈도인 마찰. 타자 법 등으로 생리작용을                                       

                                      최대한 강화시킨다.

                                   ③일상생활에서 사용하지 않는 부위도 강화시킨다.

                                   ④허리 관절염 견비통에 효과 있다.

                                   ⑤척추이상을 바로잡아 균형을 잡아준다.

                                   ⑥운동부족으로 오는 질병을 예방한다.

                                   ⑦근육에 탄력이 생기고 활력을 얻는다.

 

                          2)조식법[調息法]

                            -호흡을 통해서 건강은 강화시킨다.

                            -숨을 조절 관리하는 것이다.

                            -호흡을 통해 대기의 기를 단전에 모이게 하는 것이다.                           

                            -단전이란 기가 모이는 곳이다.

                            -호흡이 생명이다.

 

                          3)조심법[調心法]

                               -마음을 다스리는 법이다.

                               -어둡고 탁한 마음 혼돈된 마음을-맑고 밝은 마음으로 만들어 간다.

                              -7정을 다스린다

                               칠정[七情]과 오장육부의 관계

                                  ①희[喜]-너무 감격해 하고 넋을 잃을 정도로 대소[大笑]하면 심장을

                                               상하게 하기도 하고 심장에 쇼크를 일으키기도 한다.

                                  ②노[怒]-혈기가 유여[有餘]하고 왕성하면 잘 노여워하고 화를 잘 내고

                                               짜증을 습관적으로 부리는 사람은 간담을 상하게 되고

                                               간[肝], 담[膽], 심[心], 신[腎]의 네 잘기는 노여움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③우[憂]-근심 걱정이 많고 한숨을 자주 쉬며, 항상 우울한 마음가짐을

                                                갖고 있는 사람은 폐[肺]와 비장을 상하게 된다.

                                  ④사[思]-지나친 생각, 실효성 없는 생각, 과대 망상, 예민한 생각,

                                               생산성이 없는 무리한 생각등은 비장을 상하게 한다.

                                  ⑤비[悲]-번뇌와 애상[哀想], 고통으로 오는 슬픔, 넋을 잃을 정도로

                                                비통함은 결국 노[怒] 우[憂] 사[思]의 과격한 상태로서

                                                오장의 기능을 손상하게 하고 삼초기능에도 상해를 준다.

                                                심하면 설사 토혈 호흡곤란 및 생명을 잃는 경우도 있다

                                  ⑥공[恐]-외계의 과도한 자극이나 내인으로는 기혈의 부족으로

                                                신지[腎志]와 심신[心神]이 허약하여 오는 공포의 감정이다

                                                너무 무섭고 두려워하면 신경이 곤두서고 소름이 끼치며

                                                신장의 기능을 상하게 된다

                                                대변 소변이 통제가 되지 않는다.

                                  ⑦경[驚]-심려가 원인이 되며 급격한 정신적 긴장상태를 말하며

                                                두려움은 스스로 인식할 수 있으나 놀라움은 스스로 인식할 수

                                                없으며 순간적으로 공포를 느낀다.

                                                신장기능이 마비가 되고 식은땀이 흐르며

                                                배변이 통제되지 않는다.

                                               

                        4)조식법[調食法]

                               -식생활을 잘 해야 한다.

                               -음식물은 생명을 유지하는 물질이며 地氣와 精을

                                 얻는다.

                               -인체에 필요한 영양을 골고루 섭취하고 공해와                                 

                                 유해식품을 배제한다.

                               -민족고유의 음양 오행식을 섭취한다.

 

                        5)조리법[調理法]

                            -자연의 법칙에 따른다.

                            -인체는 소우주로 대우주의 리듬에 맞게 살아가야 한다.

                              대우주의 순리에 따르는 것은 단전행공에 음양의 조화를

                              이루어 가장 적합하다.

                           -옳바른 생활. 절도 있는 생활. 절제하는 생활로 윤리와

                            도덕관 그리고 인간의 가치관 근본을 갖추는 것이다. 

 

                       6)조정법[調精法]

                          -정액(精液)을 절제 하는 것

                          -건전한 성생활로 精을 조절하고 방사는 금물이다.

 

30. 조신법 수련의 중요성

 

                  1)몸이 필요로 하는 운동량을 충족시킨다.

                  2)혈액순환을 돕는다.

                  3)골격의 성장 발육에 도움 준다.

                  4)근육과 근력을 향상시킨다.

                  5)심신이 안정된다.

                  6)머리가 맑아진다.

                  7)체중이 조절된다.                  

                  8)비정상적인 체위가 교정된다.

                  9)요통이 예방된다.

                 10)스트레스가 해소된다.

                 11)만성요통이 해소된다.

 

 

참고문헌:『덕당 국선도 단전호흡법』 김성환 지음에서 발췌한 내용과 기초입문서를 참조.

 

 

 

덕당국선도

단전호흡 평상시 수련시 이것만이라도 꼭 알고 수련하자!!!

실기도 중요하지만 이론내용 상당히 중요하다.

"건강은 건강할 때 건강을 지켜야 한다."

사람은 누구나 너나 할것없이 生老病死의 길을 간다지만,

病대신에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스스로의 노력이다.

세상은 가만히 앉아서 기다린다고 하여 "건강"이란 선물이

내 무릎위에 살포시 내려지는게 아니다.

끊임없이 노력하고 애쓰고 갈고 닦고 조이고 기름칠할때..

주어지는 노력의 부산물이 "건강"이다.

세상 어디에고 저절로 주어지는 공짜는 없다.

건강은 건강할 때..

평범한 진리인것 같지만 노력하는 자만이 성취할 수 있는..

세상이란..?

건강한 자가 승리한 삶!

세상 어느 지위보다 훌륭한 삶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다가 가는것.

건강한 삶 살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건강법이 바로 국선도이다.

이것이 내가 국선도에 참여하여 열심히 하는 이유이다.

일흡일호에 정성을 다하여..

그러니 어느 한 순간도 나는 항상 최선을 다하여.. 할 수 밖에..

좋은건 나눌수록 좋아지는 자연스런 현상..

열심히 수련해서 건강한 삶 행복한 삶 다같이 누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