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의 보건현장에 규정된 건강의 정의를 살펴보면 "건강이란 질병이나 허약함이 없는
상태일 뿐만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이 완전한 상태를 뜻한다" 라고 되어 있다.
우리 조상들이 창안한 국선도 수련법은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정적)인 동작을 수반하면서
(호흡)을 통하여 (기와 혈)의 유통을 촉진시켜 몸의 (저항력)을 높이고 (항병능력)을 강화시켜
(질병)을 예방하고 지병을 퇴치시켜 건강한 몸을 유지하게 한다.
모름지기 도를 수행하는 데는 첫째, (건강)한 몸을 가져야 하고 항상 정신이 맑아야 한다.
둘째, (마음)의 중심을 찾아야 한다.
셋째, (적덕)하는 것이다.
(조신법), 조息법, (조심법)을 생명력을 강화시키는 (기수련)이라고 한다면, 조食법,
(조리법), (조정법)은 수련으로 강화된 생명력을 관리, 유지하면서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게 하는 수련법이다.
-쎈스가 빤스네~ 한자 넣어주면 덧나냐고요^^~
국선도 수련의 중추는 (단전행공법, 또는 단전호흡)로 체계적으로 수련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단전호흡 전의 (조신법)수련이다. 이를 하지 않고 들어가게 되면
(호흡)에 대한 부담과 (행공자세)의 부담으로 원만하게 되지 않는다.
민족 고유의 천 사상은 (인간중심)의 사상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자연과 더불어 조화와 (질서의 세계), 한없이 맑고 찬란하고
아름다운 (광명의 세계)를 추구한다는 (현세관)이다.
(조식법)은 攝生의 조절로 地氣를 고루게 하는 방법이다.
(조심법)의 하나로 심신정화법, 내관수련법이 있다.
(조리법)은 절도와 절제하는 생활이 根幹이 된다.
(조식법)은 기회전법과 운기법이 핵심기술이다.
(조심법)은 마음을 안정시키고 감정을 조절하는 내관수련으로 정신력과 잠재능력을 개발한다.
(정화법)은 몸의 긴장과 피로 등을 해소시키는 自律훈련이다.
(기신법)의 인위적으로 氣를 보내 臟腑를 튼튼하게 한다.
(기신법)은 오장육부의 기능 강화하고 몸 전체를 단련한다.
(오기법)은 쌓인 사기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사기토출법이다.
(두좌법)은 신경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下垂를 방지한다.
※ 좌학우세(左鶴羽勢)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맞는 말은?
。왼손과 오른손이 (대각)으로 수평 되게 한다.
。(좌수)학머리의 부리가 밑으로 향하게 하고
(우수)학머리의 부리는 뒤로 향하게 한다.
。양 발의 위치는 (90˚)각도로 최대한 벌린다.
※ 괄호 안에 맞는 말은 o, 틀리면 x 하시오.
。노화의 원인으로 착오설을 수명프로그램설이라고도 한다. (x)
。正心은 혼돈된 마음이 아닌 고요한 마음이다. (o)
。五功法을 분류하면 國仙道 丹田行功의 固定修煉法에 속한다.(x)
。頭坐法을 분류하면 國仙道 修煉法 중 强精法에 속한다.(o)
※ 괄호 안에 맞는 손모양을 적으시오.
(관지장) (역각권장) (관수) (역권) (하골)
※ 조신법 수련으로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적으시오.
인간은 우주의 (운행법칙)에 따라 몸을 움직임으로서 (몸)의 중심과 균형을 잡아주며,
(기혈)의 운행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신체의 (오장육부) 생리작용이 (음양오행)의 원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이 원리에
따라 움직이고 단련하게 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데 (바탕)을 둔다.
수련의 강도는 (자기 몸)에 맞게 할 수 있으며, 동작의 구성에 (정중동)의 원리를
적용하고 있다. 국선도 수련의 근간은 ( 단전행공)을 통하여 우주의 (천기)를
받아들이는 그릇, 즉 (몸)을 튼튼하게 만들어가는 데 있다.
일상생활의 (습관)에서 오는 불안정한 자세를 교정해 주고, 근육과 인대가
(경직)되고 (경결)된 부분을 풀어주며 몸 전체를 부드럽게 (신전)시킨다.
수련을 할 때 (반동)을 주거나 능력이상으로 (근육)을 과도하게 늘이면
(신전반사)가 일어나 (과사용증후군)을 유발하여 여러 가지 신체의 장애를 일으킨다.
체력은 육체를 움직이는 (행동체력)과 병을 이겨내는 (저항력)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있고 전자의 평가 기준은 근력, 순발력, (지구력), (조정력)등이 있다.
※ 思勢의 量(12)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맞는 말은?
왼발 끌어당겨 右肩井鶴立勢를 취하고 좌측으로 (90˚)틀면서 왼발
좌측으로 내딛어 龍馬姿勢를 취하며 左手刀로 (목)을 치 이어 왼발
(반보)좌측으로 옮기면서 左前屈 자세로 右手掌으로 (뺨)을 친다.
※ 인체의 척추는 (24)개의 추골마디로 이루어져 있고, 제일 윗부분에는
7개의 (경부) 척추골이 있고 다음에는 (12)개의 흉부척추골이 있으며 아랫
부분에 위치한 요부척추골에는 (5)개의 요추가 있고 요추 밑에 5개의
(천골)이 맞붙어서 미골을 이루고 있다. 또한 척수에서는 (31)쌍의 신경이
가지처럼 뻗어나가고 있다.
(요추)에 이상이 생기면 주로 신경계통과 (오관)에 장애가 발생하고
(두뇌)활동에도 지장이 생긴다. 흉추에 이상이 생기면 주로 (장기)에 문제가
생기며, 이곳 척추에 이상이 생기면 척수에서 뻗어 있는 신경 및
(혈관)의 작용이 원활치 못하여 직접 (장기)에도 영향을 준다.
척추에 이상이 있다하면 70~0% 바로 (요추)의 이상이며 (급성)이나
만성병으로 고생하는 곳도 바로 이곳으로 장, (방광), 생식기 등
내과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곳이 없다. (미추)에 이상이 생기면 혈액순환의
부족으로 발이 저리고 냉하며 심하면 (마비증세)도 일어난다.
※ 오공법의 뜻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은?
의세: (동양천리)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오공법의 뜻을 (마음속) 깊이 새기자
사세: 확고부동하게 (체계화)된 (수련법)을 생각하고 헤아리자.
조신법
-음양원리
-심장과 폐에서 먼곳부터 가까운곳으로
전조신-36개 동작, 18경혈
후조신-29
-오장육부와 조직기능에 직간접으로 영향 미치는 원리
-자기몸에 맞게, 정중동원리
-1. 지속성
2. 효율성
3. 회복성
- 마찰, 타자
- 1. 유연성
2. 혈액순환, 신진대사-소화, 흡수, 배설, 수면
3. 마음변화
- 중요성
1. 몸이 필요로 하는 운동량이 충족된다........등등 10가지
사랑이란?
자기 몫만큼씩 열심히 살아주는 것
18400일을 살았다.
하루하루가 중요함을 의미
운동부족-각종기능저하, 비만
혈액순환
신체조직경화, 빠른 속도로 활성산소
호흡-백혈구생성, 엔돌핀분비
스트레스 받아들이는 마음의 여유
몸-金剛體
스승-궁극적으로 진정한 스승이란
자기를 깨우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이며,
결국은 내관을 통해 자기 자신이 큰 스승임을 알아야 한다.
盡人事待天命
건강-인간들의 희구(希求)요, 욕망이다.
가식과 겉모습에 현혹되지 말고
하루하루의 생활을 배우고 깨닫는 학습과정으로 인식하고 진지하게 사물을 대해야 한다.
선(仙)?
천지자연의 이치를 깨닫고 실천하며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사람
생활선도?
덕을 실천하는 삶
첫째, 우리는 몸과 마음의 수련을 통해 심성을 계발하고 덕성을 쌓아야 한다.
둘째, 우리는 서로 돕고 서로 북돋워주며 사는 공생의 길을 가야 한다.
셋째, 우리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생활을 해야 한다.
끝으로, 우리는 창조적인 삶을 통해 개인의 능력을 키우고
사회 전체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기여해야 한다.
인간도 우주 체계 속에서 공간 요소들과 기운을 주고받는 한 부분임을 자각한다.
'나는 누구인가'
국선도의 수련과정은 끊임없는 변화와 다시 태어남의 연속이다.
요컨대 국선도의 깨달음에 대한 관점은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과
깨닫고 난 뒤의 과정을 더 중요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국선도를 수련함에 있어서는 하루하루의 우리의 삶과 수련을 구분해서 보지 않는다는 말과도 같다.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가운데 나오는 창의적인 발상이라야 좀더 많은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의 국선도는?
첫째, 현대인들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의 약화 내지는 상실이다.
결국 언젠가는 몸져눕게 될 잠재적 환자의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
스스로에게 미리 한계를 긋고 자신을 옭아매는 자승자박(自繩自縛)의 생활을 하기 때문
적극적 의미에서의 건강이란 이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양토록
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연심십진법
효제성신 하니
강유화정 하고
허영 이라..
아직 정리 진행중~~~
'덕당국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당국선도 제24호에 실린글 -오직 의를 따르고자만 한다면 (0) | 2010.10.24 |
---|---|
덕당국선도 지도자초급과정 26기 사은행사의 밤 (0) | 2010.10.17 |
덕당국선도 논문 주제 발표 안 (0) | 2010.06.23 |
덕당국선도 전통과 유래 (0) | 2010.06.16 |
덕당국선도 26기 1.정행조 상징물및구호연습 2.오공법 연습중.. 3.수료식 (0) | 2010.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