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의 역사
심리학 강의
이화여자대학교 양윤 교수님
인간은 신체, 인지, 도덕성, 사회성(성격)이 발달한다.
심리학의 역사
① 1879년 독일 분트 - 구성주의학파, 구조주의
내성법 - 자기 자신의 지각, 사고, 감정의 정체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
② 20C초 기능주의학파
미국 윌리엄 James
③ 20C초 행동주의학파
Watson 과학 객관성
반복성(일관성)
과학은 관찰 가능한 것만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
Skinner
조건형성
S ---R
자극 ↓ 반응
정신(Black Box)
아놀드 조셉 토인비
'인류의 역사는 도전과 응전의 역사다.'
④ 20C초 형태심리학
독일 Gestalt = Pattern
독일어로 '형태' 또는 '윤곽'을 나타냄
지각은 학습, 기억, 문제해결 등에 영향을 미침에 따른다.
분석이나 분해가 아니라 전체다
현대 인지심리학 연구의 초석
"전체는 부분의 합과는 다르다."
⑤ 20C초 정신분석학
Sigmund Freud
무의식 중시 : 우리가 지각하지 못하는 사고, 태도, 충동, 소망, 동기 그리고 정서
1/10 의식
9/10 무의식
무의식적 사고는 꿈, 말실수, 매너리즘 등으로 표현
『꿈의 해석』
⑥ 1950~60년대(20C중반)
인지심리학
정신
인간을 정보처리자로 간주
실험 실험이란? -(이대 3학년 학생에게 정의를 물었다.)
과학이란?
과학이 가설을 세운다.
실험을 한다.
실험후 검증이 되어야 한다.
하나의 명제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 명제가 많은 실험을 거쳐서 크게 발전하게 되면 이론이 된다.
처음에 가설이라는 것은 모든 사람이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그러나 시행착오를 거쳐서 일반화가 되면 거의다 맞게 되면 받아들여진다.
연구분야 : 지각, 기억, 학습, 추론, 문제해결, 판단 및 결정,
언어심리, 뇌, AI(인공지능), expert(전문지식) 등
⑦ 현대 Ψ의 관점
psychology
人-생물Ψ 뇌/신경계 좌뇌(언어이해)/우뇌(공간관계)
뇌량
생물학적 관점
외적 행동을 신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활동
및 화학적 활동과 연관
행동
인지
정신분석
인본주의(주관), 현상학 인간자체, 존엄성
나, 나를 둘러싼 환경
↘↙
self , 자기, 自己
이성계:무학대사 - 개 눈에는 개만 보인다.
5대 관점 통합
⑧ Ψ의 하위 영역
APA 54
KPA 13
생물Ψ
뉴로 마테팅
뇌과학을 통해 소비자의 무의식에서 나오는 감정,
구매 행위를 분석해 이를 기업 마케팅에 적용하는 것
예)Wine A(10$) B(1,500$) blind taste test
인지
발달-변화
임상/상담
학교/교육
산업/조직
소비자/광고
법/범죄
측정
⑨ 연구 방법
인간 행동 100 95 - 참
1) 실험 -> 주제, 변화, 막음, 결과
▷ 원인과 결과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는 강력한 수단
▷ 실험실에서 면밀하게 조건을 통제하고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힘
H2O -> 결과
변수(variable) : 여러 가지 값을 취할 수 있는 어떤 것
독립변수 : 실험자의 완전한 통제 하에 있으며, 실험자는 그것을 만들어 내고 변화시킴
종족변수 : 독립변수의 값에 의존
2) 상관 -> 관련성, 조작할 수 없다.
상관과 인과관계
▷ 상관 연구에서는 원인-결과 관계가 추론될 수 없음
▷ 상관은 인과관계의 전제조건이나 상관관계가 반드시 인과관계는 아님
▷ 상관계수(r) : 두 개의 변수가 관련되어 있는 정도의 추정치
무상관
-1~ 0~ +1
부정적 상관 긍정적 상관
(반비례적) (정비례적)
3) 관찰
해석할 때 주관성 배제해야 한다.
4) 조사 survey
설문 조사법
직접 관찰보다 편견에 더 많이 노출 : 사회적 바람직성, 속임, 중앙집중경향